동양화에서 준법은 산이나 바위를 묘사할 때 윤곽선을 그린 다음 산, 바위, 언덕에 입체감과 명암,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붓을 쓰는 기법입니다.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먼저 완성된 준법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준법의 명칭은 자연 및 사물의 모습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길게 찢어지는 마의 껍질과 같이 표현한다고 하여 피마준법, 구불구불한 소털과 같다고 하여 우모준법, 도끼로 나무를 힘있게 찍었을 때 보이는 면과 같이 표현되었다는 부벽준법, 쌀과 같은 점을 찍는 미점준법 등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진경산수화의 대표적인 화가 정선은 험준한 암석으로 가득한 금강산의 산세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선을 밑으로 쭉쭉 그어 내린 수직준법(서릿발준법)을 창안하였습니다. 정선이 창안한 수직준법은 중국에서는 없었던 준법입니다. 정선이 수직준법을 창안해 낼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의 모든 준법을 충분히 몸에 익히고 난 후 우리나라의 독특한 산세를 그리려 하니 중국에 있는 준법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정선은 금강산의 다양한 암석과 유명한 일만 이천 봉우리를 수직준법으로 훌륭하게 표현해냈습니다.
정선의 <금강전도>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먼저 완성된 준법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준법의 명칭은 자연 및 사물의 모습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길게 찢어지는 마의 껍질과 같이 표현한다고 하여 피마준법, 구불구불한 소털과 같다고 하여 우모준법, 도끼로 나무를 힘있게 찍었을 때 보이는 면과 같이 표현되었다는 부벽준법, 쌀과 같은 점을 찍는 미점준법 등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진경산수화의 대표적인 화가 정선은 험준한 암석으로 가득한 금강산의 산세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선을 밑으로 쭉쭉 그어 내린 수직준법(서릿발준법)을 창안하였습니다. 정선이 창안한 수직준법은 중국에서는 없었던 준법입니다. 정선이 수직준법을 창안해 낼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의 모든 준법을 충분히 몸에 익히고 난 후 우리나라의 독특한 산세를 그리려 하니 중국에 있는 준법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정선은 금강산의 다양한 암석과 유명한 일만 이천 봉우리를 수직준법으로 훌륭하게 표현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