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화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그림입니다.
풍속잠면이 우리나라의 회화에 등장한 것은 고구려 무덤 벽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일반적으로 풍속화하면 18세기에 본격적으로 유행한 그림을 말합니다.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풍속화의 양대 산맥입니다.


      김홍도<무동>
 
김홍도는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며 정조의 사랑을 받은 화가입니다. 그는 산수화, 영모화, 초상화, 사군자에도 탁월한 실력을 발휘하였습니다. <서당>,<무동>,<점심>등으로 대표되는 김홍도의 풍속화첩은 서민들이 그림의 주인공으로 등장할 만큼 변화되고 있는 시대를 증명하는 증표이자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고 있는 명작입니다.

                                                        신윤복<월하정인>

신윤복은 도시의 세련된 상류사회의 생활상을 그리는데 흥미를 가지고 명문대가의 현란한 생활을 화폭에 그렸습니다. 섬세하면서도 정확한 필선, 화려하면서도 강렬한 색채로 인물들의 표정과 몸짓을 표현하였습니다.
AND